BoYoung Jung actively pursues her independent artistic practice alongside her long-term sculptural collaboration with Emmanuel Wolfs as the duo WOLFS+JUNG. Her recent two-dimensional works, including ink on hanji paper and textiles, explore how our lived experiences are shaped by the dimensions of time and space, influencing memory and identity.

Jung's philosophical inquiries began with the WOLFS+JUNG tree sculptures. The process of connecting and harmonizing countless pieces of bark fostered an intuitive understanding of trees as living entities that embody cycles of repetition and transformation. This foundation naturally evolved into her works using ink on mulberry hanji paper, collage, and textiles, and continues to inspire her solo practice, where she meditates on the continuous flow of existence and the constant process of becoming.

Her abstract compositions, built through meditative and repetitive mark-making and the reconstruction of multiple layers of images, reflect on the bodily experience of time and the interconnectedness of different living environments.

Additionally, her textile series, <Korean Composition: 18_22_34_43_56_80>, which uses traditional Jogakbo patchwork and the five primary Obangsaek colors, examines the spatial and cultural transformations of modern Korean society and their influence on Korean identity. This work has been included in the permanent collection of the M+ Museum in Hong Kong.

For more information on BoYoung Jung's individual work, please visit: www.boyoungjung.com

아티스트 듀오 WOLFS+JUNG으로 엠마누엘 울프스(Emmanuel Wolfs) 작가와 계속적으로 조소 작업의 협업을 이어가고 있는 정보영 작가는 개인 작업 또한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의 최근의 평면 작품들은 삶의 경험, 기억, 그리고 정체성의 시간적, 공간적 차원을 탐구합니다.

정보영 작가의 철학적 탐구는 WOLFS+JUNG의 나무 조각 작업에서 시작되었고, 수많은 나무껍질 조각들을 잇고 조화시켜나가는 과정은 반복과 변형의 순환을 구현하는 살아있는 존재로서의 나무에 대한 직관적인 이해를 길러주었습니다. 이러한 토대는 이후 한지(닥종이)에 먹, 콜라주, 직물 등을 사용한 작업들로 자연스럽게 발전되었고, 존재의 지속적인 흐름과 끊임없는 생성의 과정에 대해 명상하는 그의 개인 작업에 계속적으로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명상적이고 반복적인 선 긋기와 여러 층위의 이미지들이 재구성되는 그의 추상적인 작품들은 시간에 대한 신체적 경험과 서로 다른 생활 환경의 상호 연결성을 반영합니다.

또한 전통 조각보와 오방색을 활용한 그의 텍스타일 연작 <Korean Composition: 18_22_34_43_56_80>은 현대 한국 사회의 공간적, 문화적 변형이 한국인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고, 이 작품은 홍콩 M+ 박물관의 영구 소장품으로 포함되었습니다.

정보영 작가의 개인 작업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다음 웹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www.boyoungjung.com